728x90
반응형

전체 글 630

React native Fetch 네트워크 통신

async function getMoviesFromApi() { try { let response = await fetch( 'https://facebook.github.io/react-native/movies.json', ); let responseJson = await response.json(); return responseJson.movies; } catch (error) { console.error(error); } } 네트워킹은 본질적으로 비동기 작업입니다. Fetch 메소드는 Promise 를 반환 하여 비동기 방식으로 작동하는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간단합니다. function getMoviesFromApiAsync() { return fetch('https://facebook.github...

React Native 2020.02.24

안드로이드 키보드 설정 ( 뷰가 밀려날때 )

이번 포스팅에서는 안드로이드 소프트 키보드 설정에 대해 알아보자. (특히 layout 을 조정하는 adjustXXX 를 자세히 보자!) How to ◼ AndroidManifest.xml activity> ​ ◼ Java code public class PhMainActivity extends AppCompatActivity { @Override protected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activity_main); getWindow().setSoftInputMode(LayoutParams.SOFT_INPUT_ADJUST_NOTHING); } } ..

Android 2020.02.23

안드로이드 커스텀뷰 2) onDraw 방식

이전까지는 레이아웃을 가져와서 작업을 했다면 이번에는 기본적으로 View를 상속받은 다음에 직접 하나하나 그리는 방식이다. 직접 그리기 위해서는 onDraw를 사용한다. 그러면 직접 그리는 방식의 장점은 무엇일까? 기본적으로 레이아웃 파일을 이용하여 뷰를 가져오면 처리속도가 느리다. 그렇기 때문에 한 화면에 많은 뷰가 들어가면 들어갈 수록 속도는 점점 느려진다. 클래스업(ClassUp)의 경우 수업 화면이 무한 가로 스크롤이 되는 구조인데, 레이아웃을 이용하여 수업을 20개 정도 넣으면 확연히 속도가 느려지는 것을 체감할 수 있다. ViewSwitcher를 이용하고, 뷰를 옮길 때마다 매번 20개씩 다시 그려야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수업하면 전체를 직접 onDraw로 그리는 방식을 선택했고 속도는 정말 ..

Android 2020.02.10
728x90
반응형